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기자동차 배터리3

전기차 배터리 리튬이온 배터리 전해질[전해액과 전고체 배터리] 프리뷰 이전글에서 지금까지 리튬이온 배터리의 구성요소인 양극재와 음극재에 대해서 다루었다. 리튬이온 배터리의 원리, 구성요소와 장단점 1. 배터리 우선적으로 리튬이온 배터리에 대한 이야기를 하기 전에 배터리의 기본적인 개념부터 잡고 가자. Bettery- 전기를 담아두는 부품을 일컫는 영어 표현 이라 사전적으로 칭하며 화학적으 beast1251.tistory.com 그렇다면 오늘 다룰 내용은 무엇일까 리튬이온 배터리의 구성요소 중 가장 발전가능성이 높다는 전해질이다. 사실 전해질보다는 현대사용 중인 전해액이라는 표현이 정확할 수도 있고 미래기술인 전고체 배터리에 대한 논의 또한 진행해야 하니 필자는 이글에서는 둘 다 다뤄보도록 하겠다. 전해액이란 무엇인가? 현재 상용화된 리튬이온 배터리는 전해질이라는 전.. 2024. 1. 19.
전기차 배터리 용어의 개념[충방전률/SOH/SoC/SOC산출방법/OCV] 이전글에서 다루던 배터리의 개념에 대해서 이어서 다뤄보자 1.충전률 방전률 C-rate(Current rate) 라는 단어를 사용하며 개념자체는 간단하다 얼마나 전기를 잘받아들이고 얼마나 잘방출하는가 그렇다면 C-rate는 배터리에서 어떤의미를 가질까? 1.충전 C-rate 배터리의 충전 이 예측가능해진다, ‘10C로 충전 가능한 배터리’라는 표시를 통해 배터리 용량 대비 10배 용량의 전류로 충전이 가능하다는 것과 그로 인해 완충까지 최소 6분정도가 걸린다는걸 예측가능해 진다는거다.그렇다면? 충전 C-rate가 높으면 전기차 배터리의 충전시간이 짧아진다정도의 의미로 이해하면 좋을것이다. 2. 방전 C-rate이경우 제품 성능을 예측 가능하게 해준다. 방전 C-rate 값이 높다면 방전 속도가 더 빠르다.. 2024. 1. 18.
리튬이온 배터리의 원리, 구성요소와 장단점 1. 배터리 우선적으로 리튬이온 배터리에 대한 이야기를 하기 전에 배터리의 기본적인 개념부터 잡고 가자. Bettery- 전기를 담아두는 부품을 일컫는 영어 표현 이라 사전적으로 칭하며 화학적으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배터리는 크게 1차 전지와 2차 전지로 구분되며 여기서 이야기를 조금 전개하여 보면 1차 전지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다이소나 마트에서 많이 사는 전지로 충전이 안되고 한번 쓰면 버려야 하지만 2차 전지는 충반전이 가능하다 정도의 개념을 잡고 이야기를 진행해 보자 2. 리튬이온배터리 리튬이온전지란? 사실 리튬이온전지란 이름을 하도 많이 들어봐서 리튬으로 만드는 배터리겠거니라고 하겠지만 사실 리튬이온 전지가 세상을 바꾼 이유는 다른 배터리에 비해 가볍고 높은 에너지 밀도로 고용.. 2024. 1.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