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모터 전류제어1 전기차 모터의 토크리플과 공간고조파 이전글에서 우리는 모터는 정현파를 사용한다 설명하였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에 대하여 다뤄보기로 하였다. 전기차 모터 운전시의 토크리플 전기차 모터의 토크리플 종류[마그네틱토크, 릴럭턴스토크,토크리플] 전기차 모터의 정상상태와 과도상태[회전속도,토크,정상상태,과도상태] 이전글에서 언급했듯이 전동기는 생산장치가 아니 beast1251.tistory.com 현제 전기자동차 모터의 경우 리플 개선이나 출력 밀도의 모적으로 3상 이상의 모터를 활용하고 있으며, 그러한 모터의 회전에 있어 정현파를 사용한다. 이로 인해 다상으로 갈수록 토크맥동을 일의 키는 고조파가 감소하는것은 엄연한 사실이지만 이유는 무엇일까? 우선 상이 많아질수록 제어는 인버터를 활용한 제어는 어려워지지만 회전속도의 가속자체가 균일해져 토크리.. 2024. 4. 1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