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기차 회사 분석16

현대자동차 RN24 분석[RN24 스펙] 현대자동차는 N 시리즈로 알려진 독자적인 고성능 펀카 계열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이 과연 의미가 있는지에 대한 질문이 종종 제기됩니다. 테슬라와 같은 기업은 고성능 차량 개발에 집중하지 않으며, 일부에서는 이러한 시도를 단순한 과시나 자금 낭비로 보기도 합니다. 그러나 고급 기술을 실제로 구현하고 검증하는 것은 기업에게 생각보다 의미가 큽니다. 이러한 기술 개발과 공개적인 행사가 과연 수익적인가에 대한 의문이 있을 수 있지만, 이는 자동차 애호가들의 감성을 자극하고 브랜드 이미지를 향상하는 데 크게 홍보가 될뿐더러, 사람마다 느끼는 감성이 다르기에 이러한 노력의 가치는 상대적입니다. 오늘은 공학을 전공한 한 사람으로서, 저는 이러한 시도 자체에 가슴이 뛰는 것이 사실입니다. .. 2024. 11. 7.
테슬라 로보택시 무선충전 기술은 어느정도일까? 최근 로보택시데이에 머스크는 테슬라를 무선충전하겠다고 발표했고 본인들의 유튜브에 영상을 업로드했다.   영상에서는 충전 전력이 25kW라 언급되어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무선충전기술을 가졌던 와이페이리온을 인수한 과거를떠올리며 그기술 기반으로 완성한 기술이라고 예상되고 있다.   Cybercab 무선 충전 시스템이 사실 열낭비나 EMI에 대한 우려에 대응하여, 90% 이상의 효율성을 자랑한다고 확답했다.  기존 충전 포트인 NACS 포트를 대체한 기술로 설명했는데 과연 효율적일까? 한번 알이야기해 보자 일반적으로 우리가 전기차 충전을 할 때 걸리는 시간은 초고속 충전의 경우 20~30분 중속 충전의 경우 5~6시간을 떠올릴 것이다.  무선 충전의 원리[자기유도방식, 자기공진 방식,유래]무선 충전(Wirel.. 2024. 10. 22.
테슬라 로보택시 라이브 요약[신형전기차, 옵티머스, 로보밴, 로보택시] 11일 오늘 열린 로봇택시 행사에서 사람이 쓰러지는 사고로 인해 40분 이상 지연되었지만,    머스크는 로보택시를 타고 등장해 버터플라이 도어가 달린 2인승 차량을 공개했다. 행사장에는 50대의 차량이 준비되어 즉시 시승할 수 있도록 준비하여 행사장에서 사람들이 타볼 수 있도록 했고. 또한, 스티어링 휠과 페달이 완전히 제거된 차량도 시연장에서 선보였다.   머스크는 테슬라가 불필요한 시간을 줄이고 주행해야 할 시간을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논리로, 고성능 자율주행의 궁극적인 목표를 달성했다고 발표했다. 우리가 꿈꾸는 미래의 택시는 타고 자면 목적지에 도착하는 형태로, 통계적으로 80%의 시간이 주차에 소비된다는 점을 언급하며 이 시간을 활용해 5배에서 10배 이상의 가치를 창출하겠다.. 2024. 10. 11.
2024 현대차 CEO Investor Day 분석 8월 28일 현대차 CEO  Investor Day가 있었다 주된 논제는 1. 투자 확대2.HEV 경쟁력 강화 및 확대3.EREV 전개4.EV 풀라인업 구축5. 배터리 설루션6. 디지털 칵핏 정도로 흥미로운 주제가 많지만 굳이 정리하자면 하이브리드 신규기술도입 물량확대 돈 더 써서 연구하겠다 정도로 요약할 수 있고 흥미로운 주제를 몇 가지만 다뤄보자 EREV 사실 EREV의 경우 일본에서 상용화된 적이 있는 차량으로 엔진에 회전력을 발전기에 넣어서 쓰는 방식이다장점은 기존 전기차대비 주행거리가 길고 이런저런 점이 많지만 신규 기술이 흥미로운데 전륜 클러치를 넣어 발전기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모터를 넣겠다는 거다. 사실 하이브리드 대비해서 장점이 적은 차량으로 평가받았었다. 하지만 모터기술이 발전함에 .. 2024. 8. 30.
온도가 낮으면 충전속도가 올라가는 테슬라?[테슬라 충전기 수냉시스템] 오늘은 테슬라이이야기를 해보자 사실 전기차 운용 시 충전 시 속도는 굉장히 중요한 요소이고 충전속도는 당연히 빠를수록 좋다 하지만 그만큼 많은 충전량을 감당한다는 건 곧  충전 시 활용하는 전력량이 높고 이는곧 발열문제나 화제문제로 직결된다.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글을보면 테슬라를 충전기를 젖은 수건으로 감싸면 충전속도가 올라가요 라는 기사를 확인할 수 있는데,  효과가 있냐 없냐 물어보면 추운곳에서 컴퓨터쓰면 좀더 성능을 잘뽑을수 있는건 사실이니 가능성은 있지만 결코 좋은방식은 아니다 정도로 답변하겠다.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현대차와 테슬라가 다른 방식을 선택해서 그런 것이다. 현대차가 배터리 전압을 높이는 방식을 택했다면 테슬라는 전류를 높이는 방식을 택했는데, 두 방식 모두 일장일단이 존.. 2024. 8. 7.
테슬라 2024 2분기 어닝 분석 요약 뭐 매분기마다 올리는 일종의 테슬라 보고서다 대충 내용을 요약하자면 우리 겁나 힘들었는데 성공적으로 잘하고 있다 정도다. 현금흐름은 제끼고 보면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높고 사이버트럭 많이 팔았고 로봇 이제 시설에 넣을 만큼 발전했다 이번 연도 최대의 수익원이 될 에너지 저장장치 많이 깔았다 정도로 이해하면 되겠다. 사실상 순익이 45%정도 떨어진 사실은 최대한 빼놓긴 했는데 자동차의 판매량이 서서히 줄어간다는 것이 사실이다.  일론머스크는 자율주행 을 못 믿겠으면 팔라고 하였지만 우선은 세부적인 내용을 함께 살펴보자 GAAP 영업 이익: 16억 달러 (구조 조정 및 기타 비용 6억 달러 포함)GAAP 순이익: 15억 달러비 GAAP 순이익: 18억 달러에너지 저장장치 배포:2분기에 9.4 GWh의 기록적인.. 2024. 7. 24.
중국산 전기차 기술 BYD의 블레이드 배터리란 무엇인가[블레이드 배터리, 모듈형 배터리 차이] 전기차 배터리 기술은 전기차 성능과 안전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근 중국의 전기차 제조사 BYD가 개발한 블레이드 배터리는 2세대를 발표한다고 말했고, 오늘은 블레이드 배터리와 기존 모듈형 배터리 사이의 주요 차이점을 알아보자설계 및 구조블레이드 배터리 블레이드 배터리는 길고 얇은 셀 형태로 설계되어 있으며, 셀들이 평평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설계 덕분에 배터리 팩 내에 더 많은 셀을 탑재할 수 있어 에너지 밀도가 높아진다. 이론적으로는 셀들이 개별적으로 보호되어 있어 충돌 시 안정성이 높다지만 현실적으로 발화 시 순식간에 번질 수 있어 열폭주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기존의 모듈 형 배터리  대부분의 배터리 모듈은 직육면체 프리즘 셀이나 원통형 셀로 구성되는데 테슬라의 경우 원통형을 사용하고 현대차는 .. 2024. 7. 22.
[전기차 모터 개발동향] 테슬라의 신기술 카본 슬리브 모터 분석 21년도쯤이었을까? 테슬라에서는 모델 s에 카본슬리브 모델을 적용했다는 발표를 하였다.  기존 모터가 원형으로 내부로 터를 찍어낸 데 반해 아래와 같이 조립하겠다는 발표였다.  일단 가능성이있는가 차처해두더라도 이미 양산을 하고도, 꽤나 말이 많았다. IPM으로 간 이유가 고속회전 시 원심력으로 인한 자석의 산발(튀어져 나감)과 토크를 극한까지 끌어내기 위한 시도였음에도 머스크는 저런 조립방식의 위험성을 기존 카본섬유로 대체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했으니 말이다.  전기자동차 모터에 열이 발생하는 이유는? feat. 모터 손실 종류이전글에서 모터의 절연에대해 다룬바가 있다 우리는 이안에서 모터를 절연을 해야한다 이야기하였고 결국 이부분에 대해 가장 중요한 부분이 왜 모터에서 열이나는가 부터 출발해 보자. .. 2024. 7. 18.
목적 기반 모빌리티 (PBV)에 대해 알아보자 요즘 유행하는 단어 중 하나인 PBV(Purpose Built Vehicle, 목적 기반 모빌리티)는 새로운 개념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 개념이 왜 유행하는지, 그리고 정확히 무엇인지 알아보자. 목적 기반 모빌리티가 대두된 이유는 자율주행 기술의 발전과 준비 과정에서 비롯된 것이다. 자율주행 기술이 상용화되면, 차량은 단순한 운송 수단을 넘어 특수한 목적을 가지게 될 가능성이 크다.레벨 5 자율주행이 상용화 된다면 차량은 생활 공간, 휴식처, 그리고 때로는 업무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이런 이유로, 미래의 자동차는 교통 체증 속에서도 운전자 부담 없이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변화할 것이다. 최근 동향에서 현대자동차의 기준에서 PBV는 단순한 차량만으로 완성되는 것은 아.. 2024. 6.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