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기차 화재 사례2

인천 벤츠 전기차 주차중 화재 사건 원인 분석[전기차 화재 분석, 배터리 열폭주, 벤츠 전기차 화재 원인 분석] 8월 1일 인천 청라에서 전기차 화재가 발생했습니다. 메르세 데스 벤츠 EQE 350 차량으로 당시에 자료를 보면 위 사진처럼 연기가나다가 아래처럼 폭발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우선 먼저 6월 현대차의 화재사례를 가져와보면  최근 현대차의 화재 사례는 외부 충격으로 인한 화재임이 명백합니다. 당시 자료를 보면 많은 사람들이 하부 충격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했다는 점과 발화성 냉매를 사용했다는 점은 확실히 비판할만한 측면입니다. 하지만 배터리 열폭주가 주된 원인은 아니었고, 외부 충격으로 인해 배터리에 열이 가해지면서, 화재가 크게 번진 것은 사실입니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문제는 전해액을 쓴 리튬이온 배터리를 사용하는 한, 큰 사고나 충격이 발생하면 화재 위험이 항상 존재하며, 대안들이 많이 연구되고 .. 2024. 8. 3.
전기차 화제 통계와 원인 분석해보자[전기차 화제 통계,전기차 화재 원인, 전기차 화재 사례] 의외로 전기차의 화제통계로 잡히는 건 매우 적다 최근 3년 국내외 통계만을 살펴보더라도 국내기준 전기차 화재 발생 및 피해 현황기준 121건 중 실 사망자는 1명 정도로 사실 무슨 전기차가 달리는 폭탄이네 뭐네 하는 건 어폐가 있어 보인다.  솔직히 등록대수가 35만 대에 가까워지고 있는 시점에서 화재비율은 0.01% 내연기관은 0.02%인데 정말이 걸 너무 위험해서 못 타겠다라고 하는 게 맞을까? 하지만 물론 위험성이 없다고는 못하겠지만 필자의 경우 거의 확률이 없다고 말하고싶기는 하다. 미국연방 교통안전회(NTSB)의 데이터를 봐도 전기차의 화재 진압난도가 높다는 논평도 많지만 그만큼 화재율이 기하급수적으로 낮다는 발표 또한 확인할 수 있다. 미국기준 매년 21300건 정도의 차량화재가 발생하고 그중.. 2024. 7.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