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기차 모터98 전기차 구동 모터의 위치는 어떤식으로 변화해 왔을까? 전기차에서 모터는 왜 회전할까?(모터 회전원리, 전기차 인버터의 필요성)전기차의 모터가 어떻게 회전하는지 알아보기 전에, 그 기본 원리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기차에 대해 잘 모르는 사람들은 흔히 "배터리에서 에너지를 가져다 쓰는데 왜 이렇게 복잡해?"beast1251.tistory.com 이전글에서 모터는 회전한다는 사실을 강조했으니 오늘은 발전사 이야기를 좀 해보자, 전기차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는 모터 배치의 자유로움이라 언급한 적이 있다. 내연기관 자동차와 달리 전기차는 모터를 다양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어 차량 설계의 유연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었고, 이에 따라 전기차는 1개부터 4개의 모터까지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으며, 차량의 용도에 맞게 모터의 위치와 개수를 조정할 수 있다. 하지만 .. 2024. 10. 11. 전기차에서 모터는 왜 회전할까?(모터 회전원리, 전기차 인버터의 필요성) 전기차의 모터가 어떻게 회전하는지 알아보기 전에, 그 기본 원리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기차에 대해 잘 모르는 사람들은 흔히 "배터리에서 에너지를 가져다 쓰는데 왜 이렇게 복잡해?"라는 질문을 받은 적이 있다. 이번 글은 이런 질문에 대한 답을 간단하게 풀어보고자 한다. 전기차의 핵심이 모터라하는데 모터란 무엇일까?필자가 학부생 때 가장 자주 느꼈던 감정 중 하나는 교수님들의 열정적인 수업에도 불구하고 '그래서 이걸 어디에 써먹는 걸까?'라는 의문이었다. 당시에는 치기 어린 2학년 대학생의 생각일지beast1251.tistory.com왜 인버터가 필요할까? 먼저, 전기차의 배터리는 직류(DC) 전원을 공급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전기차 모터는 교류(AC)로 작동된다. 여기서 인버터의 역할이 중요한데.. 2024. 10. 8. 전기차의 핵심이 모터라하는데 모터란 무엇일까? 필자가 학부생 때 가장 자주 느꼈던 감정 중 하나는 교수님들의 열정적인 수업에도 불구하고 '그래서 이걸 어디에 써먹는 걸까?'라는 의문이었다. 당시에는 치기 어린 2학년 대학생의 생각일지도 모르지만, 과연 이 공부가 실질적으로 쓰일 수 있을까?라는 생각에 잠기곤 했다. 전자기학의 복잡한 행렬을 유도하고, 로렌츠 힘의 공식 문제를 풀면서도 내가 정말 이 전공에 맞는 사람인지 의문이 들었던 것이다. 그럼 이제 처음으로 돌아가서, 모터란 무엇일까?모터에 대해 논하려면 먼저 전기 기기에 대해 이야기할 필요가 있다. 모터를 어떻게 정의할 수 있을까? ChatGPT에게 이 질문을 던지면 이런 식으로 답변한다. 공학적, 물리학적으로 맞는 말이지만, 필자는 개인적으로 ‘전기를 흘려주면 회전하는 기구’ 정도로 정의하는.. 2024. 10. 7. 전기차의 모터 절연시스템 분석[바니쉬코팅,절연지,에폭시 코팅, 함침] 전기차 모터 절연 시스템절연이란?우선적으로 절연 시스템을 공부하기 앞서 단어에 대해 이야기하고 가자절연 (Insulation) ㅇ 전기(電氣) 및 열(熱)이 통하지 않게 하는 것 - 전기 전도성 및 열 전도성은 동질적인 관련성beast1251.tistory.com 전기차 모터의 절연 시스템은 고성능 전기 모터의 안전성과 효율성에 매우 중요하다. 절연 시스템은 전기적 손실을 줄이고, 열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며, 전기적 간섭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므로 필수적인 이에 따른 기술이 정말 많이 들어간다 오늘은 이에 대해 이야기해 보자1. 전기 절연 시스템의 필요성전기차 모터는 고출력과 고전류를 다루는 시스템으로, 이러한 고전류는 발열을 동반하게 된다. 발열은 모터의 성능 저하뿐만 아니라, 장기간 사용 시 손상을.. 2024. 9. 5. 전기차에서 엔코더의 활용 방식[역할, 이점, 실적용] 모터의 엔코더[엔코더 정의,엔코더 역할,엔코더 이론, 엔코더 활용 방법, 전기차 엔코더]1. 엔코더의 정의 엔코더(Encoder)는 모터의 위치, 속도, 방향 등의 정보를 감지하고 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다. 기본적으로, 엔코더는 회전하거나 선형으로 움직이는 기계 부품의 운동beast1251.tistory.com 전기차(Electric Vehicle, EV)는 자동차 산업에서 혁신의 중심에 서 있으며, 그 핵심 기술 중 하나로 모터 제어 시스템이 있다. 전기차의 모터 제어 시스템에서 엔코더는 필수적인 역할을 하며, 이는 차량의 효율성과 성능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다.1. 전기차에서의 엔코더의 역할 전기차는 내연기관 차량과 달리 전기 모터를 사용하여 차량을 구동한다. 이 전기 모터의 성능을 최적.. 2024. 9. 4. 모터의 엔코더[엔코더 정의,엔코더 역할,엔코더 이론, 엔코더 활용 방법, 전기차 엔코더] 1. 엔코더의 정의 엔코더(Encoder)는 모터의 위치, 속도, 방향 등의 정보를 감지하고 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다. 기본적으로, 엔코더는 회전하거나 선형으로 움직이는 기계 부품의 운동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센서다. 엔코더는 회전 위치를 측정하는 데 자주 사용되며, 특히 서보 모터(Servo Motor)나 스텝 모터(Stepper Motor) 같은 정밀 제어가 필요한 시스템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엔코더는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증분형 엔코더(Incremental Encoder)와 절대형 엔코더(Absolute Encoder). Incremental Encoder 특정 기준점에서의 변화를 측정하여 위치를 결정한다. 즉, 초기 위치로부터 얼마나 움직였는지를 계산 가능,.. 2024. 9. 4. 전기차에서의 홀 센서(Hall Sensor) 활용 방식 모터의 홀 센서(Hall Sensor)에 대하여 알아보자[홀 센서, 홀센서 수식, 홀센서 구조, 홀 센서역할,전기 모터는 다양한 센서와 제어 메커니즘을 통해 작동하며, 그중 홀 센서(Hall Sensor)는 모터의 동작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브러시리스 DC 모터(BLDC 모터)와 같은 정밀beast1251.tistory.com 이전글에서 홀센서의 개념에 대해 다뤘고 이번글에서는 전기차(EV, Electric Vehicle)에서 홀센서에 대해 세부적으로 다뤄보자, 우선 전기차는 전기 모터를 통해 구동되며, 효율적인 구동을 위해서는 다양한 센서 기술이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그중 홀 센서(Hall Sensor)는 전기차 모터의 핵심적인 센서로, 위치, 속도, 방향 등을 정.. 2024. 9. 4. 모터의 홀 센서(Hall Sensor)에 대하여 알아보자[홀 센서, 홀센서 수식, 홀센서 구조, 홀 센서역할, 홀 센서 장단점] 전기 모터는 다양한 센서와 제어 메커니즘을 통해 작동하며, 그중 홀 센서(Hall Sensor)는 모터의 동작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브러시리스 DC 모터(BLDC 모터)와 같은 정밀한 속도 및 위치 제어가 필요한 곳에서 홀 센서가 활용되어 왔고 최근에는 전기차 분야에서도 널리 활용되고 있다. 1. 홀 센서란 무엇인가?홀 센서는 자석의 자장을 감지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로, 1879년 미국의 물리학자 에드윈 홀(Edwin Hall)에 의해 발견된 홀 효과(Hall Effect)를 기반으로 동작한다. 이 센서는 자석을 활용한 여러 전자기계 시스템에서 자주 사용되며, 특히 회전 위치와 속도, 방향을 감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홀 센서는 비접촉식 센서로, 물리적인 접촉 .. 2024. 9. 4. 전기차 전동기의 극수 선정[전기차 모터 극수,전기차 모터 페러미터] 전기차의 구동 시스템에서 전동기의 극수 선택은 차량 성능과 직결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다. 그중에서도 특히 영구자석 동기 전동기(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PMSM)의 극수(pole number)는 전동기의 성능을 결정하는 핵심적인 변수로 이를 선정하는 데 있어 고려해야 할 사항이 많다. 극수는 전동기의 효율, 비용, 제조 용이성 등 다양한 측면에 걸쳐 영향을 미치며, 전동기의 극수 선정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 매우 다양하지만 우선은 6가지정도로 정리해 살펴보자1. 코깅 토크와 토크 리플 코깅 토크(cogging torque)는 영구자석 전동기에서 고정자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 회전자가 회전할 때 발생하는 주기적인 토크 리플(ripple)이다. 코깅 토.. 2024. 8. 28. 이전 1 2 3 4 5 6 ··· 1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