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 εE
에서 ε을 으로 결론만 놓고 말하면 전기장에서 전속 밀도가 얼마나 달라지는 비율이 유전율을 의미한다.
전기장이 존재 한다고 할때 +전하에서 나와서 -전하로 향하는 방향이 곧 전기력선이고 동일 면적 대비 얼마나 이 전기력선이 있느냐가 곧 전기장의 세기다.
이러한 전기력선은 단일로 나오는 것이아니라 많은수가 나오므로 이또한 자기력선과 동일하게 묶어서 세고 이러한 묶음의 전기력 선속을 전속(Electric Flux, 電束)이라 칭하며 이를 D라고 칭한다.
그렇다면 이러한 전기장에서 높은 전속밀도를 가지게되는 물질 곧 유전율이 높은 물질은 어디에 사용될까?
단순하다 커패시터사이로 들어간다고하면 결국 배터리로 사용된다.
유전율이 높은 물질은 외부 전기장에 의하여 양전하와 음전하로 분리되어 전기적 에너지를 잘저장할수있고 이러한 재료들을 고민하여 만들어진것이 배터리로 전기자동차에서 이 유전율이 중요한 정도는 말로 표현할수 없을것이다.
좀더 자세히 풀어보자면 배터리에서 유기용매에 적용되는 개념으로 이러한 분리성또한도 상당히 중요한 기술로 각광 받고있다 정도만을 알아두자
전기차모터의 재료역학[도전율 Conductivity]
전기 전자공학을 전공을 하다 보면 초기에 어떠어떠한 특성을 가진다 정도의 개념을 다루기만 하고 계산을 죽어라 해보지만 사실 정확하게 이해하고는 넘어가지는 못한다 필자또한도 계산은
beast1251.tistory.com
전기차 모터 재료역학[투자율(Permeability)]
전기차모터의 재료역학[도전율 Conductivity] 전기 전자공학을 전공을 하다 보면 초기에 어떠어떠한 특성을 가진다 정도의 개념을 다루기만 하고 계산을 죽어라 해보지만 사실 정확하게 이해하고
beast1251.tistory.com
'전기차 모터 > 전기차 모터 재료역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차모터 자성재료[히스테리시스 곡선의 활용] (0) | 2024.02.21 |
---|---|
전기차모터 자성재료[히스테리시스 곡선(Hysteresis Curve)] (0) | 2024.02.21 |
전기차 모터 재료역학[투자율(Permeability)] (0) | 2024.02.20 |
전기차모터의 재료역학[도전율 Conductivity] (1) | 2024.02.20 |
전기차 모터의 재료[자성체, 전도물질, 절연물질, 영구자석] (1) | 2024.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