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98

2024 CES와 정의선 회장 신년사로 분석한 현대자동차의 미래 1.CES?? 가뭔데? CES The International Consumer Electronics Show(국제전자제품박람회)로 오늘은 현대자동차 그룹에서 한 CES방문기들과 자체로 올린 영상들을 보여 이에 대하여 분석하는 시간을 가져볼 것이다. 2. 현대자동차 그룹은 왜 CES에 참가했는가?? 사실 이상하지 않은가? 현대자동차 우리가 아는 현대자동차 그룹은 기아차 현대자동차가 합쳐둔 회사로 딱히 전자제품과는 거리가먼 기업으로 보인다. 하지만 현대차그룹은 그와 다르게 작년부터 이 콘퍼런스에 참가하기 시작했고 이에 대해서 현대자동차그룹이 미래 시장에서 선택을 해가고 있는지를 명백하게 보여주는 하나의 출사표라 필자는 생각한다. 아마 현대차 그룹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2020년경 현대자동차가 로봇회사 보스.. 2024. 1. 16.
테슬라 언박스드 프로세스와 현대자동차 조립방식의 비교분석 1. 테슬라 언 박스드 프로세스 발표 영상 우선은 영상을 보자 테슬라에서 발표했던 언 박스드 프로세스를 소개한 영상으로 아래 유튜브 영상에서 발췌한 내용이다. 2. 언 박스드 프로세스전에 조립방식 사실 이언박스드 프로세스가 왜 굉장한지 이해하려면 포드와 도요타에서 이어져 오는 자동차 생산 방식에 계보에 대해서 알아야 하는데 포드가 컨베이어 벨트를 도입하여 기본적인 효율성과 생산성을 끌어올렸다면 도요타는 차량의 골격에 해당하는 바디를 먼저완성시키고 그 이후 차체부품을 조립하는 방식의 프로세스를 현제 세계에서 가장 완성 높고 효율 높은 공정기술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받는다. 하지만 테슬라는 이기술이 들어간 공정으로 재료가 들어가서 완성하는 데까지 10시간 정도 여타 기업들이 대략 한대를 제작하는데 30시간 정.. 2024. 1. 15.
전기차와 SDV 소프트웨어 중심자동차 이게 대체 뭔데? 1.SDV? 그게 대체 뭔데 전기차에 대해 공부하면서 최근 보게된 기사로 현대자동차그룹이 2025년까지 모든 차종을 ‘소프트웨어 중심의 자동차(SDV, Software Defined Vehicle)’ 기사였다. 현대자동차그룹, 2025년까지 모든 차종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SDV)'로 대전환 스마트 모빌리티 소프트웨어 기술로 끊임없이 진화하는 자동차 통해 완전히 새로운 고객 경험 제공 2025년 현대차그룹 커넥티드 카 2천만 대 예상, 데이터 기반 개인화 서비스 개발 글로벌 소프트웨어센터 중심으 www.hyundai.co.kr 사실 기사에서 전문 전인용어들이 나오면서 무선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하고 새로운 모빌리티 패러다임을 전환하네 어쩌네라는 이야기를 하면서 집중형아키테쳐 기반으로 뭘 올리겠네 어쩌네.. 2024. 1. 14.
전기자동차 모터 기술 약계자 제어의 활용 과 최적 운전점 찾기 1.IPMSM을 사용하고 제어해야 하는 이유 이전 글에서 우리는 전기차 구동모터에서 IPMSM을 사용한다는 사실을 알게되었다. 간단히 말해 장점으로 효율과 출력밀도가 우수하고, 회전자 구조가 간단하며 효율이 높지만 이에 대해 계자자속 양조절을 하는 것이 매우 어렵기에 이를 제어하는 방식 또한 따라서 발전해 왔다.. 사실 모터를 제어하는 기술의 경우 주요 파라미터가 역기전력에 기반하므로 이 글을 읽기 전 역기전력 기본이론에 대하여 필자가 다른 글이나 타인이 다른 글을 읽어보고 아래글을 읽는 것을 추천하는 바이다. 그럼 역기전력을 알고 있다고 생각하고 이야기를 시작해 보자 전기차용 구동모터 IPMSM에 대한 분석 IPMSM 이란? 왜 전기자동차는 주로 IPMSM 모터를 사용할까? IPMSM과 SPMSM의 차.. 2024. 1. 13.
전기차 전용 플랫폼[각회사별 플랫폼 종류와 CTB와 스케이트보드 플랫폼의 차이] 1. 플랫폼이란? 플랫폼 사전적으로는 바닥구조를 의미하며 자동차 공학에서 플랫폼은 자동차의 몸체와 전체적인 시스템을 통틀어서 칭하는 일종의 차량의 시스템을 통칭하는 말로 쓰여왔다. 실제로 내연기관 차량에서도 양산성 과 차량의 성능을 위해 엄청난 돈을 들여 플랫폼을 개발해 왔었고 그를 통해 원가절감, 개발기간 단축 품질 향상등 개발하는 기업입장에서 엄청난 이점들을 보았기에 과거 전기차 양산시에는 이러한 내연 기관의 플랫폼을 사용하려는 시도가 주를 이뤘다는 건 웃지 못할 이야기이다. 2. 전기차 전용 플랫폼의 대두 전기차의 경우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에 비해 부품이 단순하고 변속기나 구동축이 필요없이 단순히 모터와 감속기를 통해 동력을 전달하기에 기존 차량과는 전혀 다른 설계를 필요로 한다. 하지만 플랫폼 개.. 2024. 1. 12.
전기차에는 몇개의 모터를 사용할까?(탑재 개수와 미래에 관하여) 1. 차량에 사용되는 모터는 과연 2,3개일까? 여러 블로그 글을 보면 전기차에 모터는 몇 개인가요? 라는 질문에 단순하게 1개에서 4개를 나눠서 사용해요 라는 답을 하는 걸 보면 공학을 전공한 사람으로서는 조금 화가 난다. 전기자동차 플랫폼이나 여러 글을 찾아보면 "전기차 모터는 1개에서 3개를 써요"라고 단순히 말할 수 있지만 이는 구동모터 기준이며 세세하게 다룬다면 차량에는 20가지 이상의 모터를 사용한다. 2. 실제로 사용되는 모터는 몇 개일까? 사실 차량에 사용되는 모터의 개수만 따져봐도 기존 내연기관차 기준으로 20종류 이상이고 단순 개수로만 따지자면 내연기관 차량 기준 일반형은 20~30개 고급자동차로 가면 60개 이상의 모터를 사용한다. 그럼 당연히 어디에 그렇게 많이 써요 라는 질문이 나.. 2024. 1. 11.
테슬라 사이버 트럭 첫 충돌 사고 과연 튼튼한 차량의 문제라고? 1. 테슬라 사이버 트럭 추돌사고 레딧 From the cybertruck community on Reddit: Head on today on CA-17 Explore this post and more from the cybertruck community www.reddit.com 최근 레딧에 글이하나 올라왔다 사이버 트럭이 사고가 낫고 그에 대한 사진이 올린 평범 한글이었다. 길을 가던 도중 도요타와 사고가 낫고 오토크루즈나 어댑티브 크루즈는 작동시키지 않은 사고인데 사실 굉장히 놀라워 이야기해보고자 한다. 도요타 코롤라와 사고가 난 거고 사이버 트럭에 추돌해서 난상황의 결과는 아래의 사진과 같은 상황이다. 사실 단순 추돌이아니라 테슬라 사이버 트럭과 2차 충돌을 했기 때문에 단순한 파괴가 되었다라고 .. 2024. 1. 10.
전기차와 내연기관 차량 패달은 어떤 방식으로 신호를 전달할까? 1. 전기자동차와 내연기관차의 차이 이전에 우리는 전기자동차에 PE 시스템은 모터와 감속기 인버터로 구성된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다. 하지만 내연기관차에서 기존 엑셀러러이터 라고 불리는 가속 장치인 가스 페달(gas pedal)의 경우 엔진에 유입될 공기의 양을 제어한다고 생각하면 접근이 편할 것 같다. 실제로 가속페달을 밟으면 액셀러레이터 케이블과 연결된 스로틀 밸브가 엔진에 유입될 공기의 양을 제어해 ECU가 적절한 비율로 기화된 연료를 섞어 공급해 준다는 사실은 워낙 기본적인 내연기관의 상식이다. 하지만 전기자동차는 가속을 하는데 공기를 필요로 하지 않고 전기로 제어를 하는데 엑셀(엑셀레이터를 이하 엑셀이라 칭함)을 누르면 어떠한 현상이 일어나는지 오늘 한번 이야기해보려 한다. 2. 전기차 동력.. 2024. 1. 10.
전기차용 구동모터 IPMSM에 대한 분석 IPMSM 이란? 왜 전기자동차는 주로 IPMSM 모터를 사용할까? IPMSM과 SPMSM의 차이 이전글에서 PMSM이 전기자동차의 대세라는 글을 썻었다 오늘은 그중 SPM과 IPM 분류를 아래사진과 같이 분류 하는 방식으로 이야기를 해보려 합니다. SPMSM (Surface mounted PMSM) 설계 beast1251.tistory.com 위 글에서 전기자동차는 주로 IPMSM (Interior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즉 내부에 자석이 삽입된 모터를 사용 된다는것을 설명한 적이있다. 다만 그때는 가볍게 다루고 너머간 부분을 좀더 자세히 다루어 보도록하자 전글의 주장은 SPMSM (Surface mounted PMSM)의 한계가 존재하고 특히 고속회전시의 자석.. 2024. 1.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