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98 전기자동차 모터의 구조 [구성요소, 역할 및 특성] 우선적으로 모터는 회전자(rotor)와 고정자(stator)로 구성된다. 하지만 모터별로 어떤 방식을 사용할지에 대한 고민은 수십 년 동안 연구 되어 왔고, 최근 전기차 모터는 회전자에 영구자석을 활용한 PMSM이 대세로 사용되고 있다. 물론 초기 테슬라의 경우 유도전동기를 사용하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지금은 거의 모든자동차 회사가 영구자석을 활용한 PMSM을 사용하고 있고 그에 대한 이유는 아래의 글을 참조해 주시기를 바란다. 왜 전기자동차는 주로 PMSM 모터를 사용할까? 전기차용 모터에 요구되는 성능 어떤 모터가 전기차용 모터로 좋고 어떠 요구조건이 있어요 라는 질문을 몇 개의 논문으로 요약해 보자면 넓은 속도 범위에서 교통기관의 구동에 적합한 토크를 beast1251.tistory.com 실제로 세.. 2024. 2. 25. 포르쉐 신형 3세대 파나메라 E-하이브리드 가격 및 성능 제원 분석 포르쉐 AG가 파나메라 3세대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인 파나메라 4 E-하이브리드와 4S E-하이브리드 모델을 공개했다. 엔진 및 EV 시스템의 출력 밀도가 꽤나 흥미로운데 필자와 함께 살펴보자 미국포르쉐 기준으로 정보를 요약해 보자면https://www.porsche.com/usa/models/panamera/panamera-models-1/panamera-4s-e-hybrid/ Porsche Panamera 4S E-Hybrid - Porsche USAThe chassis of the new Panamera models performs this balancing act between sport and comfort effortlessly – even more impressively than be.. 2024. 2. 24. 자성체의 종류와 성질[강자성체,상자성체,비자성체] 전기차 모터에서 사용되는 자성체의 투자율과 비투자율이란 이전 글에서 우리는 히스테리 시스 루프에 대해서 이해했다. 사실 엄밀히 말하면 모든 물질은 자성체로, 모든 물질의 히스테리 시스루프를 그릴 수는 있다. 다만 그것이 0에 가깝게 수령하여 아 beast1251.tistory.com 자성체(Magnetic Material) 이전글에서 자성체의 투자율과 비투자율에 대하여 알아봤다. 그렇다면 자성체를 구분하는 데 있어서 투자율로 변동한다는 사실정도는 어렵지 않게 추론할수있고 이러한 특성을 자기 분극의 정도를 나타내는 물성값 정도로 정의를 내릴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이 특성이 달라지게 된다. 그렇다면 그수치에 따라 이를 구분하는 기준이 있을 텐데 이에 대해서 먼저 이야기해 보자 비자성체 (nonmagnetic.. 2024. 2. 22. 전기차 모터에서 사용되는 자성체의 투자율과 비투자율이란 이전 글에서 우리는 히스테리 시스 루프에 대해서 이해했다. 사실 엄밀히 말하면 모든 물질은 자성체로, 모든 물질의 히스테리 시스루프를 그릴 수는 있다. 다만 그것이 0에 가깝게 수령하여 아예 의미가 없는 경우도 존재하며 매우 미세하고 작은 형상을 지니기에 주로 의미가 있는 것은 강제성체의 부분들만을 의미한다. 그럼 자성체의 사전적인 정의는 뭐고 자성체는 어떤방식으로 구분하는가? 자성체 (Magnetic Material) 자성체란 자기장 내에서 자화되는양 즉 자극이 생성되어 정렬되는 물질을 의미하고 모든 물질 마다 그 성질이 다르다, 하지만 모든 물질은 사실 외부의 힘인 자기장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고 그 정도가 다를 뿐이다. 그렇다면 이를 구분하는 기준은 무엇일까? 전기차 모터 재료역학[투자율(Perm.. 2024. 2. 22. 아이오닉6 재원 및 스펙 분석 2022년 7월에 공개되었던 차량에 대해 이야기하기 전에 우선 기본적인 건 이야기하고 가자 현대자동차의 아이오닉은 세단전기차는 짝수를 붙여 이번에 세단형 전기차를 개발했다. 1회 충전 주행가능 거리는 국내기준 524km이고, 최대 전비는 6.2km/kWh 성능자체는 상당히 뛰어나다 심지어 공기저항계수가 0.21이라니 굉장히 뛰어난 성능을 자랑하며, 세부적인 스펙은 아래와 같다 2WD 4WD 차량가격(최저가) 5,260 만원 5,510 만원 주행가능거리 524km (18in) 452km (20in) 484km (18in) 420km (20in) 제로백 7.4s 5.1s 배터리 77.4kWh(리튬이온배터리) 모터 PMSM 최고출력 168kW 239kW 최대토크 350Nm 605Nm 구동방식 RR 4WD .. 2024. 2. 21. 전기차모터 자성재료[히스테리시스 곡선의 활용] 전기차모터 자성재료[히스테리시스 곡선(Hysteresis Curve)] 전기차 모터의 자성재료의 활용[자구(Magnetized domain)] 자구 Magnetized domain 자벽은 자발 자화가 다른 방향을 가지는 영역들 사이의 경계면이다. 여기서 이야기가 출발하는데 이러한 경계면으로 둘 beast1251.tistory.com 우리는 히스테리시스 곡선에 대한 이야기를 진행하였고 그렇다면 과연 모터에서 이러한 히스테리시스 곡선들이 어떤 방식으로 활용되는지에 대해 이야기해 보자 B=μH 아마 전기 모터를 공부하다 보면 철손이 곧 히스테리시스 손실 이라는 이야기를 들어봤을 거다. 이 또한도 꽤나 중요한 개념으로 실제 설계 프로그램을 사용하다 보면 각철판별 히스테리시스 루프를 확인 가능하고 모터의 철판이 .. 2024. 2. 21. 전기차모터 자성재료[히스테리시스 곡선(Hysteresis Curve)] 전기차 모터의 자성재료의 활용[자구(Magnetized domain)] 자구 Magnetized domain 자벽은 자발 자화가 다른 방향을 가지는 영역들 사이의 경계면이다. 여기서 이야기가 출발하는데 이러한 경계면으로 둘러싸인 지점을 자구라고 하는데 이에 대한 이야기에서 beast1251.tistory.com 히스테리시스 곡선(Hysteresis Curve) 이전에서 우리는 자성재료에서 결국 자기장에 흐름에 따라 특성이 변화하고 이것은 결국 재료의 분자구조에 종속됨을 설명하였다. 결국 자성재료의 경우 자구들 안에 자화 됨에 따라 변화하고 그것을 유지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결국 자화와 감자의 영향에 따른 재료의 특성을 나타낸 곡선이 히스테리시스 곡선이다 우선은 언어에 대한 이야기를 조금 해보자면 자기.. 2024. 2. 21. 유전율(Permittivity)정의와 수식 분석 D= εE 에서 ε을 으로 결론만 놓고 말하면 전기장에서 전속 밀도가 얼마나 달라지는 비율이 유전율을 의미한다. 전기장이 존재 한다고 할때 +전하에서 나와서 -전하로 향하는 방향이 곧 전기력선이고 동일 면적 대비 얼마나 이 전기력선이 있느냐가 곧 전기장의 세기다. 이러한 전기력선은 단일로 나오는 것이아니라 많은수가 나오므로 이또한 자기력선과 동일하게 묶어서 세고 이러한 묶음의 전기력 선속을 전속(Electric Flux, 電束)이라 칭하며 이를 D라고 칭한다. 그렇다면 이러한 전기장에서 높은 전속밀도를 가지게되는 물질 곧 유전율이 높은 물질은 어디에 사용될까? 단순하다 커패시터사이로 들어간다고하면 결국 배터리로 사용된다. 유전율이 높은 물질은 외부 전기장에 의하여 양전하와 음전하로 분리되어 전기적 에너지.. 2024. 2. 20. 전기차 모터 재료역학[투자율(Permeability)] 전기차모터의 재료역학[도전율 Conductivity] 전기 전자공학을 전공을 하다 보면 초기에 어떠어떠한 특성을 가진다 정도의 개념을 다루기만 하고 계산을 죽어라 해보지만 사실 정확하게 이해하고는 넘어가지는 못한다 필자또한도 계산은 beast1251.tistory.com 이전글에서 우리는 도전율에 대한 이야기를 진행하였다 하지만 구리와 절연재료 선정을 통해 모터에 활용되는 투자율(μ, Permeability) B=μH B=μH 이공식에서 이야기를 출발해 보자 투자율 이란건 결국 동일 자기장에서 자속 밀도가 얼마나 흐를 수 있냐 라는 질문이다. 자속 밀도라는 건 간단하게 단위 면적에 따른 자속 량을 자속 밀도(B)라 정의하지만 결국 자기력선 그니까 자석에서 나오는 자력이 얼마나 잘 흐르냐라는 것과 직결된다.. 2024. 2. 20. 이전 1 ··· 23 24 25 26 27 28 29 ··· 3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