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차의 정의
친환경차(Eco-friendly Vehicle)란 배출가스를 줄이거나 전혀 발생시키지 않음으로써 환경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는 차량을 의미한다. 그러나 과연 전기를 연료로 사용하는 차량이 진정한 친환경차일까?.이러한 고민은 수많은 기간동안 공학쪽에 주된 메인터넌스 였으며 나름대로 해결방안을 찾아왔다.
결론적으로 친환경차의 정의는 시대와 기술의 발전에 따라 변화하고 있으며, 각 국가와 지역에서 채택한 법률, 규제, 그리고 국제 협약에 따라 조금씩 달라지고 있다.
역사적 배경
친환경차의 필요성은 20세기 후반, 특히 1970년대와 1980년대에 두드러졌다. 1973년 오일 쇼크와 같은 사건들은 화석 연료에 대한 의존도를 줄일 필요성을 인식하게 했고, 이로 인해 연료 효율이 높은 차량과 대체 연료 차량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
1990년대 들어 기후 변화에 대한 우려가 깊어지면서 전기차와 하이브리드차의 개발이 가속화되었으며, 많은 친환경차가 출시되었다. 1997년, 일본의 도요타가 세계 최초로 상업적으로 성공한 하이브리드 차량인 프리우스(Prius)를 출시하면서 친환경차의 대표주자로 자리매김했다. 이후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테슬라가 전기차의 대표주자로 급부상하며 전기차(EV)가 상용화되기 시작했고, 친환경차의 범위가 더욱 확장되었다.
국제적 정의와 기준
국제에너지기구(IEA)
에너지 효율이 높고 온실가스 배출량이 적은 차량을 친환경차로 정의하며, 전기차, 하이브리드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 수소연료전지차 등이 포함된다.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2015년 파리 협정을 통해 각국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설정하였고, 교통 분야에서 친환경차 도입을 촉진하고 있다.
유럽연합(EU)
CO₂ 배출 규제를 통해 신차의 평균 CO₂ 배출량을 제한하는 법을 시행 중이다. 2021년 기준으로 신차의 평균 CO₂ 배출량을 95g/km 이하로 설정했다.
대한민국
「친환경자동차의 개발 및 보급 촉진에 관한 법률」에 따라 친환경차를 "대기 오염물질 배출이 적거나 배출되지 않는 차량"으로 정의하고 있다.
친환경차의 종류
- 하이브리드차(HEV): 내연기관과 전기모터를 함께 사용하여 연비를 향상시키고 배출가스를 줄이는 차량이다. 주로 내연기관이 구동을 담당하며, 전기모터는 보조 역할을 한다. 충전구가 없으며, 대표적인 예로는 토요타 프리우스와 현대 아이오닉 하이브리드가 있다.
-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PHEV): 하이브리드차와 유사하지만 외부 전원을 통해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차량이다. 전기 모드로 일정 거리를 주행할 수 있으며, 도심 주행을 전기로만 하면 효율성이 매우 높아진다는 아이디어에서 출발했다. 대표적인 예로는 쉐보레 볼트(Volt)와 기아 니로 PHEV가 있다.
- 전기차(EV): 전기모터만을 사용해 구동되며,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로 주행하기 때문에 주행 중 배출가스가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전기 생산 과정에서의 배출은 있지만, 대규모 생산시설의 효율성과 소규모 차량의 배출을 비교하면 전체적으로 환경에 유리하다. 대표적으로 테슬라 모델 S, 현대 아이오닉 일렉트릭 등이 이에 해당한다.
- 수소연료전지차(FCEV): 수소와 산소의 화학 반응을 통해 전기를 생성해 모터를 구동하는 차량으로, 배출가스 대신 물만 배출한다. 그러나 수소 충전 인프라가 부족해 실제 활용성이 떨어진다. 대표적인 예로 현대 넥쏘(NEXO), 토요타 미라이(Mirai)가 있다.
-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REEV): 전기모터로 구동되지만 배터리가 방전되면 내연기관 엔진이 발전기를 구동하여 전기를 생산해 주행 거리를 연장하는 차량이다. 일본에서 몇몇 양산화된 차량이 존재하며, 쉐보레 볼트(Volt) EREV도 이러한 개념을 적용한 차량이다. 최근 현대자동차에서도 이러한 차량의 출시를 발표했으며, 동일 차량 대비 주행거리가 긴 것이 장점이다.
친환경차의 정의에 대한 논란
친환경차의 정의는 명확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이를 둘러싼 다양한 논란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전기차는 주행 중 배출가스를 배출하지 않지만 배터리 생산 과정에서의 온실가스 배출과 폐배터리 처리 문제가 있다. 또한 많은 국가에서 전력 생산이 여전히 화석 연료에 의존하고 있어, 이러한 전기로 충전되는 전기차가 과연 완전히 친환경적이라고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도 제기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라이프사이클 평가(Life Cycle Assessment, LCA)가 도입되었으며, 이는 친환경차의 진정한 환경 영향을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으로 활용되고 있다. 결국 이를통해 전체적으로 내연기관대비 계속해서 총탄소 생산량이 더낮은 차량을 찾아가는 과정이라 이해하자
'사회이슈 > 전기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시의 전기차 90% 충전률 제한 이유 분석(실효성 있는 대책인가?) (2) | 2024.08.27 |
---|---|
전기차 화재사고 스프링 클러가 효과 있을까?[전기차 소방안전 가이드, 전기차 화재 스프링 클러] (0) | 2024.08.08 |
2024년 하반기에 한국 출시예정 전기차 (0) | 2024.07.16 |
전기차 화제 통계와 원인 분석해보자[전기차 화제 통계,전기차 화재 원인, 전기차 화재 사례] (0) | 2024.07.13 |
전기차에서 LCA가 끼치는 영향은?[LAC란, LCA의 산업영향] (0) | 2024.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