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기차 이론44 전기차는 왜 공력휠을 사용할까?[공력휠의 개념, 특징, 적용사례] 자동차의 휠에 관하여[휠구조, 재료에따른 휠 분류, 디자인에 따른 휠구조]자동차의 휠은 타이어와 결합하여 주행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거기에 구동력 및 제동력을 전달하며 디자인에 따른 외형도 결정하기에 이전 내연기관 자동차에서도 나름 중요한 역beast1251.tistory.com 전기차(EV)에 주로 사용되는 공력휠(aerodynamic wheels)은 차량의 공기 저항을 줄이고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설계된 특별한 종류의 휠이다. 사실 내연기관에 비해 주행거리에 훨씬 더 민감하기에 일반적인 휠의 소재부터 구성가지 신경 써야 할부분이 압도적으로 많으며 재료는 주로 알로이라는 알루미늄 합금휠이나 탄소섬유를 주로 사용한다.심지어 휠의 인치에따라 주행거리가 30km 이상 차이 가나니 이러한 중요성은.. 2024. 7. 16. 자동차의 알터네이터[알터와 회생제동의 차이에 관하여] 오늘 아는 분과 술을 한잔하면서 이야기를 하는데 회생제동 그거 알터잔 아 라는 이야기를 들었다 사실 전공자로서는 속이 터지는 이야기지만 비전공자가 보기에는 그럴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 오늘은 알터네이터에 대해서 알아보고 회생제동의 차이에 대해 이야기해 보자 기본적으로 차량의 알터네이터 줄여서 알터네이터는 사실 발전기다. 그래서 구성요소 또한 발전기와 인버터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아래와 같다.1. 알터네이터의 구성 요소로터(Rotor): 로터는 자석 또는 전자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회전하면서 자기장을 생성.스테이터(Stator): 스테이터는 고정된 코일로 이루어져 있으며, 로터의 회전에 의해 유도된 전류를 생성다이오드 브리지(Rectifier): 다이오드 브리지는 교류(AC) 전기를 직류(DC) .. 2024. 7. 12. 전기차에 활용되는 서스펜션 종류[차축현가식, 독립현가식, 토션빔, 맥퍼슨 스트럿, 더블위시본, 멀티링크] 서스펜션의 기본개념[서스펜션 개념,과거의 서스펜션]서스펜션 이란? 서스펜션 시스템은 차량의 차체와 바퀴를 연결하여 도로의 충격을 흡수하고 차량의 승차감과 핸들링을 최적화하는 역할을 하는 장치다. 뭐 NVH적 요소를 제외하고 서라도 운전beast1251.tistory.com 자 우선 우리는 이전글에서 서스펜션의 기본 개념과 과거의 서스펜션에 대해서 이야기했다. 이러한 서스펜션은 크게 2 가주지 분류로 나누는데 차축 현가식(Rigid axle suspension)과 독립 현가식(Independent suspension)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럼 무조건 독립식이 좋은게 아니에요 라는 질문이 나 올만하나차축식의 경우에는 단일 연결구조라 튼튼해서 주로 트럭과 같은 상용차에 많이 사용되고 독립식 현가식은 탑승.. 2024. 7. 11. 전기차에서 활용되는 주차브레이크(EPB)에 대해서 알아보자 [EPB, 페달식 주차 브레이크, 레버식 주차브레이크] 주차 브레이크는 차량을 주차할 때 차량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장치로 고전적인 기계식 주차브레이크와 최근 유행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로 구분된다. 물론 여기서 페달을 쓸 거야 레버를 쓸 거야에 따라 구분을 하지만 기본적인 원리자체는 아래와 같이 바퀴를 안 굴러가게 한다라는 이론기반으로 설명가능하다. 물리적인 방식을 레버로 전달하냐 페달로전달하냐 아니면 옆에서 딸깍으로 전달하냐 정도의 차이고 기본적인 원리는 드럼브레이크와 가깝게 설계하여 아예 바퀴자체를 물리적으로 잡는다 정도로 이해하면 쉬울 것이다. 드럼 브레이크 (Drum Brake)의 원리와 장단점드럼 브레이크는 자동차의 제동 시스템 중 하나로, 원통형의 드럼과 그 내부에 위치한 브레이크 슈를 이용하여 차량을 감속하거나 정지시키는 방식이다. 드.. 2024. 7. 10. 드럼 브레이크 (Drum Brake)의 원리와 장단점 드럼 브레이크는 자동차의 제동 시스템 중 하나로, 원통형의 드럼과 그 내부에 위치한 브레이크 슈를 이용하여 차량을 감속하거나 정지시키는 방식이다. 드럼 브레이크는 오래된 기술이지만 여전히 일부 차량의 후륜 브레이크로 사용되고 있으며 주로 대형 차량에서 많이 사용된다. 1. 드럼 브레이크의 작동 원리드럼 브레이크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때 유압 또는 기계적 작동을 통해 브레이크 슈를 드럼 내부에 압착시켜 마찰을 발생시키며, 이 과정은 다음과 같다.브레이크 페달 작동: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페달의 움직임이 유압식 마스터 실린더에 전달되거나 기계적 링크를 통해 작동유압 발생: 유압식 브레이크 시스템에서는 마스터 실린더가 브레이크 오일을 압축하여 유압을 발생, 유압이 브레이크 라인을 통해 휠 실린더.. 2024. 7. 10. 전기차 제동에 활용되는 디스크 브레이크 [벤틸레이티드 디스크 브레이크, V 디스크 브레이크, 디스크 브레이크] 최근 전기차 들 현대차의 아이오닉 이나 테슬라는 메인 브레이크로 디스크 브레이크를 활용한다. 그중에서도 더욱더 성능을 올린 V 디스크 브레이크를 활용하는데 이는 벤틸레이티드 디스크 브레이크의 준말로 "벤틸레이티드(Ventilated)"는 공기 통풍과 관련된 것을 의미한다. 자동차 브레이크 시스템에서 "벤틸레이티드 디스크 브레이크(Ventilated Disc Brake)"는 디스크(로터)에 공기 통로가 포함된 설계를 통해 제동 시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방출할 수 있는 디스크 브레이크를 의미한다 정도로 이해하고 이야기를 시작하자. 단순 회생제동으로 가능한 거 아니냐 라는 질문이 나오겠지만 그럼 정말 좋겠지만 결국 차량은 안정성능이 있기에 물리적인 브레이크는 필수적이고 그중에서도 드럼보다 제동성능이 뛰.. 2024. 7. 10. 전기차에 사용되는 유압 브레이크 (Hydraulic Brake)란 무엇인가?[유압 브레이크, 디스크브레이크, 드럼브레이크] 회생제동과 전기차 브레이킹 시스템에서 유압 브레이크는 없어선 안될 시스템이고 현대의 차량에서 널리 사용되는 제동 시스템이다. 유압(오일 압력)을 이용하여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방식으로 이를 어떤 기기에 적용하냐에 따라 현대전기차에서 널리 사용되는 디스크 브레이크와 드럼브레이크로 나뉜다 정도로 이해하자, 이 시스템은 제동력을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기에 표준이 되었고, 강력한 제동 성능을 제공한다. 대다수의 승용차량이나 ev차량에서는 디스크 브레이크를 활용하고 드럼의 경우 대형차량에서 활용하지만 오늘의 경우 브레이크의 기초적인 개념인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에 대해서 먼저 이야기해 보자 1. 유압 브레이크의 작동 원리유압 브레이크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때 발생하는 유압을 통해 제동력을 전달한다.. 2024. 7. 10. 전기차 회생제동의 장단점 전기차 회생제동 산정방식[회생제동 계산법과 SOC][전기차이론]회생제동 원리자오늘은 회생제동(regenerative braking)에 대해 한번 이야기해 보자 생각보다 어려운 이야기는 아니니 쉽게 쉽게 가보자. 전기차의 핵심기술 뭐 전기차는 내연기관차beast1251.tistory.com우리는 이전글에서 회생제동은 어떤 방식으로 계산해야 하는가 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다실제로 SOC기반으로 3D맵을 그려서 나누고 이를 차량시스템에 적용한다 정도의 이해를 했다면 훌륭하게 따라오고 있는 것이다. 자그렇다면 이러한 회생제동이 굉장히 좋아 보이기는 하는데 단점은 없을까? 오늘은 회생제동의 장단점에 대해 이야기해 보자 회생제동의 장점 에너지 효율성 향상뭐 더이야기 할 필요가 없을 정도의 장점이다. 회생 제동은.. 2024. 7. 2. 전기차 회생제동 산정방식[회생제동 계산법과 SOC] [전기차이론]회생제동 원리자오늘은 회생제동(regenerative braking)에 대해 한번 이야기해 보자 생각보다 어려운 이야기는 아니니 쉽게 쉽게 가보자. 전기차의 핵심기술 뭐 전기차는 내연기관차랑 이게다르다 라는 이야기beast1251.tistory.com 우리는 이전글에서 전기차 회생제동의 기본원리에 대해서 이해했다 그렇다면 장단점으로 넘어가기 전에 어떤 방식으로 회생제동 량이 산정되는지 의문이 드는 것이 당연한 예시이다. 자그렇다면 전기차 회생제동은 어떤 방식으로 산정될까? 우선 이에대에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SOC라는 개념을 이해할 필요성 있다. 전기차 배터리 용어의 개념[충방전률/SOH/SoC/SOC산출방법/OCV]이전글에서 다루던 배터리의 개념에 대해서 이어서 다뤄보자 1... 2024. 7. 2. 이전 1 2 3 4 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