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기차 이론44

전기차 구동원리 [전기자동차 와 내연기관 동력전달 방식의 차이/ 2륜과 4륜은 전륜과 후륜에 관하여] 1. 전기차와 내연기관차 구동방식이 검색결과가 왜 다를까? 다들 전기차에 대해 검색해 보면 아는 사실이지만 검색해 보면 나오는 구동원리는 자동차와 다르게 뭐 모터를 사용하네 어떤 모터를 사용하네 차종에는 뭐가 있네 라는 이야기들이 대다수이다. 하지만 차량의 구동방식을 검색하면? 드라이빙 시스템이라 해서 아예 어떤 바퀴를 사용하고 어떠한 방식을 채택했는지에 대한 내용이 주를 이루기 때문에 전통적인 내연기관차에서 접근하려는 사람들은 오히려 당황할 수밖에 없다. 2. 전기차에 표준구동방식이 회사마다 다른 이유 사실 전기차에서 이러한 말자체가 적은 이유는 아직은 정확한 표준이 정해진 것이 아니다.라는 이유가 가장 크다 응용학문이기도 하고 표준방식과 기본적인 표준을 논하고 있는 과정 중에 어떤 언어를 쓰자라고 딱.. 2024. 1. 3.
전기자동차의 역사 1.자동차의 등장 및 초기 자동차 산업 전기자동차를 공부하다보면 꽤나 흥미로운 주제중 하나가 전기차가 기름을 이용한차보다 먼저 개발되었다는거다 사실 1837년에 스코트랜드에 최초의 상업 전기차가 나오고 1859년에 납축전지가 개발되어 배터리의 성능이 향상되었다. 라는 기록들은 흥미로운 주제로 생각보다 전기차의 역사는 200년가까이 된다고 말할수도 있을것같다. 최초의 전기자동차는 1834년 원유를 이용한 전기마차를 만들었는데 당시에 기록을보면 1차전지를 활용하고 충전기술 자체가 없기에 판매는 하였지만 전기차라고 보기는 뭐하고 학계는 보통 1881년 구스타프가 개발한 3륜차 자체를 최초의 전기차라 보는 경향성이 강하다 특히 전기모터를 활용하고 제대로된 주행시험했다는 기록또한 존재하기에 이를 최초로 보는데는 .. 2024. 1. 2.
전기자동차의 구동 및 제동시스템 회생제동 동력보조 분석 이전에 친환경차 종류에서 다룬 HEV BEV FCEV의 특징은 모터와 배터리를 탑재해 주행한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하여 나타나는 특징을 크게 4개로 정리할 수 있는데 이는 아래와 같다 Stop & Go 전기구동 회생제동 동력보조 1 Stop & Go 스탑앤고라고하면 들어본 적이 없겠지만 아마 기존 내연 기관차 기준으로 Idle Stop & Go(ISG) 시스템이라 하면 한 번쯤 들어본 사람이 있을 것이다 이는 정차 중에 엔직장동을 중지하여 최대 효율을 만들어내기 위해 만들어진 방식으로 이해하면 편하며 모터의 경우 저속에서 고 토크특성을 가지며 응답속도가 빠른 특성이 제어를 하는데 굉장히 이점이 많다 기존 내연기관에서 정지후발진의 운전감각 또한 비판점으로 삼아져 왔으나 이러한 것들을 모터를 사용해.. 2023. 12. 13.
전기자동차의 원리(배터리, 온보드차저, 통합전력제어장치) 3.배터리 위사진은 배터리와모터를 전체적으로 연결해둔 전기차의 하부기관이다 현대자동차 기준 e-gmp를 통합모듈로 사실 배터리만해도 냉각 관리 전압조정 배치방식등등 공부해야하는게 무궁무진하게많고 전고체배터리부터 어떤방식을 택할것인가 까지 정말 다양한 이야기가 진행되어야한다. 하지만 가장 간략하게 설명하자만 배터리는 결국 기존내연차의 연료통을 대체하는 역할이고 결국 배터리 용량에따라 주행거리가 결정된다는 대전제를 먼저 깔고 이야기를 시작해보자. 그럼 단순히생각한다면 용량을 겁나키우면 되는거아닌가? 라는 생각을 하겠지만 이게 쉽지않은게 배터리를 많이장착하면 그만큼 공간이커지고 무게가증가해서 결국 효율성이 떨어진다. 그렇다면? 쉽게이해해보면 동일 무게 대비 배터리의 저장용량을 키우고 최대한 효율적으로 저장하는.. 2023. 12. 12.
전기자동차의 원리(감속기, 구동모터) 다른글에도 썻을지 모르겠지만 세계적으로 환경규제가 심해져서 탄소0정책이나 여러 유로7대응을 위해 많은 자동차 기업들 또한 트렌드를 내연기관을 전기차로 변화하고있다 그럼 단순히 생각해보는게 이런전기차는 어떤방식으로 움직일까? 라는 질문이다 위그림은 2020년에서 현대차에서 현대자동차에서 작성된글로 생각보다 매우단순한 구조를 지니고 있는데 실제로 전기차로넘어오면서 부품수가 대략 3만개에서 2만개미만으로 줄어 구조자체가 단순해 진것도 사실이긴 하며 흥미로운 이야기라 이것도 기회가 되면 적어보도록 하겠다. 간단히말하면 전기를 배터리에 충전하고 그전기로 구동모터를 회전시킨뒤 감속시켜 동력을 전달하고 그과정을 OBC나 통합전력제어장치로 제어한다 뭐이런 이야기다. 사실 전공자들에게는 단순한 이야기로 보이지만 비전공자.. 2023. 12. 12.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원리 이전글에서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종류에 대해서 설명했다 다만 이글에대해서 이야기한건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와 일반하이브리드를 구분하는 방식에 대한 이야기지 그렇다면 모터와 엔진을 어떤방식으로 연결하는걸까라는 의문이 발생한다 위의문에대한 대답은 크게 3종류로 구분할수있는데 연결방식에 따라 병렬형 방식 [parallel hybrid] 직렬형 방식 [series hybrid] 동력 분기 방식 [power-split hybrid] 3가지의 방식이 존재한다 쉽게설명하면 병렬형방식-클러치+제어 직렬형방식-바로연결해서 전달성은좋음 동력분기방식-완전분리래서 따로 운영할꺼야 정도로 이해하면 조금편한데 이를 좀더 자세하게 다뤄보자 1. 병렬형 방식 (parallel hybrid) 병렬형 연결방식은 널리 쓰이고 현대자동차에도 채.. 2023. 12. 10.
하이브리드 자동차 원리와 플러그인하이브리드의 차이 서론에 들어가기전에 하이브리드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에대헤 지인들에게 질문받으면 가장 쉬운방법이 용량의 차이와 충전구 라고 대답했던것같다. 이를 좀더 자세하게 풀어보도록하자 위에서도 이야기했듯이 하이브리드 자동차 플러그인하이브리드와 하이브리드 두종류가있지만 구분방법은 쉽게설명하면 충전구가있냐 없냐정도로 구분하면 이해하기쉽다 이를 구조적으로 접근한 아래의 그림을보면 결국 엔진을과 모터를 같이쓰는데 외부 충전구와 용랴이큰 배터리를 쓰는구나 까지 생각할수있고 외부에서 충전하고 배터리가 크다고? 논리구조를 좀더 전개하면수있는데 플러그인 하이브리드가 더더욱많은 전기를쓰는거고 그에따라 더큰배터리용량을 쓰니까 모터가 더크겠구나까지는 어렵지 않게 생각할수있다. 결론적으로 놓고보면 플러그인하이브리드는 완속구간(30~50k.. 2023. 12. 9.
"친환경차는 진짜 친환경 차일까?"친환경차의 종류와 특징 1.친환경 자동차의 대두 자동차에서 나오는 배기가스는 세계적으로 화두가되는 문제로 여러나라 정부차원에서 연비규제와 배기가스 규제를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내연기관에서 사용하는 일산화탄소 미세먼지등의 환경오염이 주요한 문제로 지적되고있고 각국에서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세부규제 기준 2023 2024 2024 10인 이하 승용 승합차 온실가스 배출량[g/km] 95 92 92 연비[g/km] 22.4 25.2 25.2 11~15인 승합 소형화물 온실가스 배출량[g/km] 164 161 161 연비[g/km] 154 15.7 15.7 [자료 환경부] 이러한 규제가 강화됨에따라 가솔린과 디젤 엔지의 연비개선 에는 물리적 한계가 있기 때문에 여러 자동차 회사들은 친환경차 연구개발을 시작하게 됩니다.. 2023. 12.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