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기차 이론44

[전기차이론]회생제동 원리 자오늘은 회생제동(regenerative braking)에 대해 한번 이야기해 보자 생각보다 어려운 이야기는 아니니 쉽게 쉽게 가보자.   전기차의 핵심기술 뭐 전기차는 내연기관차랑 이게다르다 라는 이야기를 한 번쯤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회생제동이란 단어를 하나의 문장으로로 정리하면  차량이 감속하거나 정지할 때 발생하는 운동 에너지를 회수하여 배터리에 저장하는 시스템 정도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인 내연기관 차량의 경우, 제동 시 발생하는 운동 에너지가 열로 변환되어 소모되고 그를 정지시키기 위해 수만은 브레이크 기술이 개발되어 있지만, 회생 제동 시스템을 갖춘 전기 자동차는 이 운동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배터리에 저장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주행거리를 향상한다. 이 정도의 .. 2024. 7. 2.
전기차 제조공정[내연기관과 전기차 조립공정의 차이] 제네시스 최초의 전용 전기차 GV60, 제작 과정 영상 공개전기차 전용 플랫폼으로 탄생한 제네시스의 럭셔리 전기차 GV60의 제작 과정을 담은 영상이 공개됐다. 영상을 통해 럭셔리 전동화 시대를 선도하는 GV60의 제작 공정과 특징에 대해 살펴봤다.www.hyundai.co.kr 자오늘은 전기차의 조립방식에 대해 이야기해 보자 일반적인 자동차의 제조공정은 프레스-차체-도장-조립으로 나누어진다. 사실 뭐 어려운 이야기는 아니고 차체를 부품을 찍어내고 그걸 차체조립을 진행한다 그 이우 색상을 칠하고 조립을 하는 것이 전부다. 그렇다면 전기차에는 뭔가 달라질까? 우선 chat gpt에게 한번 물어보자  현대자동차의 전기차 조립공정에 대해 물어보면 아래와 같이 대답한다.더보기현대자동차는 전기차 조립 공정에서 높.. 2024. 6. 30.
나라별 전기차 주행거리 인증 종류와 특징[한국 중국 미국 일본 유럽 전기차 주행거리 인증 시험 방식] 자우선 이야기를 하자 아래쪽에 사진을 보면 나라별로 전기차 인증기준이 다르다. 전기차의 인증거리가 나라마다 천차만별인걸 우리는  위의 표만 봐도 알 수 있는데 국가별 인증기준만을 빠르게 정리해 보면 아래와 같은 종류가 존재한다.유럽은 NEDC,WLTP미국 EPA한국 환경부인증중국 CLTC일본 JC08 및 WLTP  전기차 주행거리 인증을 할 때 나온 지표자체가 인증만큼 주행이 가능한가 뻥스펙 아니냐 등등 수많은 논란거리가 존재하고 아직은 통일화가 안되어 나라마다 주행거리가 100KM씩 차이나는 진풍경이 벌어지고 있다. 그렇다면 오늘은 왜 이 정도로 차이는지 에 대한 이유에 대해 이야기해 보자 유럽 WLTP [Worldwide harmonized Light vehicles Test Procedure]  유.. 2024. 6. 28.
전기자동차 800V 시스템 을 사용해야 하는이유(완속충전 고속충전 장단점) 현대자동차에서 나름 메인으로 밀고 있는 급속충전 기술로 일반적인 기술과는 다르다는 이야기가 많다. 과연 그렇다면 완속충전 고속충전의 장단점은 뭘까? 기존 전기차 테슬라나 여러 제조사들에서는 400V배터리를 활용한 시스템을 활용해서 전기차에 적용하고 있다 배터리의 공칭전압이 400V라는 건데 뭐 개념자체가 조금 어렵지만 배터리에서 나오는 전압이 400V다라고 생각하고 이야기를 진행해 보자 그렇다면 800V승압의 장점은 무엇일까? 가장 단순하게 접근해서 전압이 증가한다면 그만큼 흘릴 수 있는 전력이 많아지는데 이는 손실과 직접적인 연관관계가 있다 손실을 수식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은 식으로 정리되는데 이에 따라 결국 V를 높이면 I값을 낮출 수 있고 결론적으로 전압을 높인다면 동일 전류로 더 많은 양의 전.. 2024. 2. 18.
전기차에 전기는 어떤 식으로 흐를까? 전기차에 전기는 어떤 식으로 흐를까? 사실 전력전자 공학의 기초에 대한 내용으로 생각보다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기술이며 반도체 소자를 사용하는 나름대로 고급기술이다. 이것들을 사용한 회로를 간략하게 그려보면 아래와 같이나오는데 OBC? 인버터 LDC 등등 머리 아픈 단어들이 잔뜩 나오지만 아이디어는 한 가지다 결국 전기에너지를 어떤 방식으로 공급하느냐에 대한 고민으로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220V 상용전원에서 배터리로 전압을 옮긴이 후 내부에서 변환이 이루어진다는 사실정도는 어렵지 않게 추론가능하다 자 그럼 이야기를 진행해 보자 상용전원-OBC-배터리 한마디로 충전기전기를 흘려 배터리에 충전하려면 직류로 변환할 필요성이 존재하니 그걸 해주는 곳을 OBC(On-Board Charger)라 칭한다 .. 2024. 2. 6.
전기차 전용 플랫폼[각회사별 플랫폼 종류와 CTB와 스케이트보드 플랫폼의 차이] 1. 플랫폼이란? 플랫폼 사전적으로는 바닥구조를 의미하며 자동차 공학에서 플랫폼은 자동차의 몸체와 전체적인 시스템을 통틀어서 칭하는 일종의 차량의 시스템을 통칭하는 말로 쓰여왔다. 실제로 내연기관 차량에서도 양산성 과 차량의 성능을 위해 엄청난 돈을 들여 플랫폼을 개발해 왔었고 그를 통해 원가절감, 개발기간 단축 품질 향상등 개발하는 기업입장에서 엄청난 이점들을 보았기에 과거 전기차 양산시에는 이러한 내연 기관의 플랫폼을 사용하려는 시도가 주를 이뤘다는 건 웃지 못할 이야기이다. 2. 전기차 전용 플랫폼의 대두 전기차의 경우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에 비해 부품이 단순하고 변속기나 구동축이 필요없이 단순히 모터와 감속기를 통해 동력을 전달하기에 기존 차량과는 전혀 다른 설계를 필요로 한다. 하지만 플랫폼 개.. 2024. 1. 12.
전기차와 내연기관 차량 패달은 어떤 방식으로 신호를 전달할까? 1. 전기자동차와 내연기관차의 차이 이전에 우리는 전기자동차에 PE 시스템은 모터와 감속기 인버터로 구성된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다. 하지만 내연기관차에서 기존 엑셀러러이터 라고 불리는 가속 장치인 가스 페달(gas pedal)의 경우 엔진에 유입될 공기의 양을 제어한다고 생각하면 접근이 편할 것 같다. 실제로 가속페달을 밟으면 액셀러레이터 케이블과 연결된 스로틀 밸브가 엔진에 유입될 공기의 양을 제어해 ECU가 적절한 비율로 기화된 연료를 섞어 공급해 준다는 사실은 워낙 기본적인 내연기관의 상식이다. 하지만 전기자동차는 가속을 하는데 공기를 필요로 하지 않고 전기로 제어를 하는데 엑셀(엑셀레이터를 이하 엑셀이라 칭함)을 누르면 어떠한 현상이 일어나는지 오늘 한번 이야기해보려 한다. 2. 전기차 동력.. 2024. 1. 10.
전기차 모터 감속기를 쓰는이유 와 N-T커브에 대한 해석 feat. 테슬라 모델s 1. PMSM을 사용하는 전기차 모터 일단 전기차 모터에 대해서 동향이나 이전글을 읽어봤다면 IPMSM을 주로 사용한다는 것은 알고 있을 것이다.  이 글에서는 IPMSM의 릴럭턴스토크와 전진각제어등의 주요한 개념을 다루기 전에 모터에서 속도와 토크 그래프에 대해 간단히 공부해 볼 것이다. 잘 모르겠으면 아래에 글을 보고 오늘은 이론적으로 접근하는 시간이니 이야기를 진행해 보자 왜 전기자동차는 주로 IPMSM 모터를 사용할까?IPMSM과 SPMSM의 차이 이전글에서 PMSM이 전기자동차의 대세라는 글을 썻었다 오늘은 그중 SPM과 IPM 분류를 아래사진과 같이 분류 하는 방식으로 이야기를 해보려 합니다. SPMSM (Surface mounted PMSM) 설계beast1251.tistory.com  사실.. 2024. 1. 8.
전기차 히트펌프 시스템 (feat.현대자동차 데이터) 1. 전기차 냉각시스템과 내연기관의 차이 옛날아이폰에서 그런이야기가있었다 겨울되면 꺼지는핸드폰 이라는건 한번쯤 들어봤 을것이다 사실 온도가 낮으면 베터리의 내부저항이 증가해 에너지 효율이 떨어지고 히터 사용으로 인해 저온에서 상온상태와 큰차이를 보인다. 기존 내연기관은 엔진의 열을 이용해 실내의 온도를 관리하고 겨울철또한 엔진열을 이용해서 전체적으로 대류시스템을 돌린다 그러나 전기차의 경우 PTC히터를 별도로 장착하여 난방을하여 위이전에 주행거리가 줄어다는 특성을 이해할필요가없다 전기자동차 구동모터 냉각방식의 종류와 특성 2023.12.27 - [전기차/전기차모터] - 전기자동차 모터 원리(10) [전기모터는 왜 냉각해야 하는가? 열이 끼치는 영향은?] 전기자동차 모터 원리(10) [전기모터는 왜 냉각해.. 2024. 1.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