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98

모노코크 구조와 바디온 프레임 모노코크 구조와 바디온 프레임 구조는 자동차 설계에서 두 가지 주요한 차체 구조 방식이다. 전기차에서는 모노코크 구조가 주로 사용되므로 오늘은 이 구조에 대해서 알아보자모노코크 구조 (Monocoque)  모노코크 구조는 프레임과 차체가 일체형으로 설계된 구조다. "모노코크"는 프랑스어로 "단일 껍질"이라는 뜻으로, 차체 전체가 하나의 구조물로 작동하여 하중을 분산시킨다. 이러한 모노코크 구조는 많은 장점을 가지는데 특히 경량화 구조가 단순하고 통합되어 있어 무게가 가볍고 강성이 높아 전체 차체가 하나의 구조로 작동하여 비틀림 강성이 높다, 심지어 바디온에 비해 안전성이 높고 충돌 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분산시켜 승객을 보호 성능이 뛰어나다 심지어 공간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승객 공간이.. 2024. 7. 16.
왜 전기차는 휠에 따라 주행거리가 다를까?[구름저항,편평도,회전저항,공기저항] 과거 내연기관 차량에서 휠은 연비와 직결되는 요소였다 보통 1인치가 증가한다 가정하면 2kg이 증가해 연비가 약 4~10% 정도 감소한다는 연구결과가 있었고, 일반적으로 휠이 커지면 승차감과  연비가 떨어지지만 외관이 예뻐지는 트레이드오프 관계에 있다 봐도 될 정도로 상식이었다. 물론 핸들링 응답성이나 브레이크의 제동성 강화 디자인 측면이 뛰어나져 오히려 더 좋다 말하는 사람이 있는 만큼 큰 휠에는 손해만 있는 것도 아니기에 내연기관에서는 이를 고민하긴 했지만 중대한 논의점으로 끌어오지는 않았는데   전기차 시대로 넘어오며 카탈로그에 실제 복합 주행거리가 30km씩 감소하는 걸 보고 깜짝 놀라 다만 차량의 무게가 얼마인데 고작 휠인치수에 따라 30km나 차이나요?라는 질문을 하는 사람이 많아졌다, 오늘은.. 2024. 7. 16.
전기차는 왜 공력휠을 사용할까?[공력휠의 개념, 특징, 적용사례] 자동차의 휠에 관하여[휠구조, 재료에따른 휠 분류, 디자인에 따른 휠구조]자동차의 휠은 타이어와 결합하여 주행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거기에 구동력 및 제동력을 전달하며 디자인에 따른 외형도 결정하기에 이전 내연기관 자동차에서도 나름 중요한 역beast1251.tistory.com 전기차(EV)에 주로 사용되는 공력휠(aerodynamic wheels)은 차량의 공기 저항을 줄이고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설계된 특별한 종류의 휠이다. 사실 내연기관에 비해 주행거리에 훨씬 더 민감하기에 일반적인 휠의 소재부터 구성가지 신경 써야 할부분이 압도적으로 많으며 재료는 주로 알로이라는 알루미늄 합금휠이나 탄소섬유를  주로 사용한다.심지어 휠의 인치에따라 주행거리가 30km 이상 차이 가나니 이러한 중요성은.. 2024. 7. 16.
자동차의 휠에 관하여[휠구조, 재료에따른 휠 분류, 디자인에 따른 휠구조] 자동차의 휠은 타이어와 결합하여 주행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거기에 구동력 및 제동력을 전달하며 디자인에 따른 외형도 결정하기에 이전 내연기관 자동차에서도 나름 중요한 역할을 했었다, 하지만 전기차로 넘어오며 NVH와 공력성능을 고려하는 것뿐만 아니라 휠의 크기가 직접적으로 자동차의 전비나 주행거리에 영향을 끼치게 되었기에 전기차에서는 공력휠에 대해서 많은 이야기가 진행되고 있는 추세다. 1. 자동차 휠의 구조림 (Rim): 타이어를 지지하고 고정하는 휠의 외부 원형 부분스포크 (Spoke): 림과 허브를 연결하는 부분으로, 휠의 강성을 결정허브 (Hub): 휠의 중앙 부분으로 차량의 축에 고정되는 부분디스크(Disc):허브와 림사이에있는 둥근 판PCD( Pitch Circle daimeter).. 2024. 7. 16.
2024년 하반기에 한국 출시예정 전기차 2024년 하반기에 한국에서 출시될 주요 전기차 모델은 8대로 생각보다 괜찮은 차가 많다. 최고급 전기차부터 저가형 전기차까지 다양한데 오늘은 이 이야기를 한번 해보자. 포르쉐 마칸 일렉트릭  포르쉐의 전기 SUV로, 마칸의 전기 버전으로 솔직히 이쁘진 않다 개인적으로 필자의 취향은 아니라서 저번에도 관련 글을 썼지만 주행거리는 500~600 정도로 국내인증기준으로는 얼마나 나올지는 아직 좀 더 지켜봐야 하지만 괴물 같은 스펙을 가지고 있다. 솔직히 중국산 배터리를 쓰는 점이 좀 아쉬운 점이지만 매력적이 차량이긴 하다.로터스 에메야 사실 개인적으로는 포르셰보다는 디자인이 훨씬 취향에 맞는 차량이다. 대충 공개된 자료로는 PMSM이중모터 가 적용되어 905마력대 제로벡이 2.8초  WLTP 기준 610 k.. 2024. 7. 16.
공학의 기초 지배방정식이란 무엇인가? 지배방정식(또는 제어방정식, governing equation)은 다양한 공학 및 과학 분야에서 특정 시스템의 물리적 현상을 기술하고 예측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방정식은 시스템의 거동을 이해하고, 분석하고, 제어하는 데 많이 활용되는데 이를 세우는 이유와 개념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자 지배방정식을 세우는 이유 지배 방정식을 세우는 가장 큰 이유는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다. 물리적 시스템의 기본적인  흐름과 예측을 한다면 이를 활용하는 것이 가능해서 인데, 이를 위해 지배방정식은 시스템 내의 다양한 물리적 변수 간의 관계를 명확히 정의한다. 이러한 예측을 통해 우리는 시스템을 설계하고 최적화하는 것이 가능한데, 공학적 설계 과정에서 시스템을 최적화하고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최적화 이후에.. 2024. 7. 16.
왜 테슬라와 아우디는 전륜에 유도모터(im)를 사용할까? 이 글은 어디까지나 필자의 생각이며 정확한 사실을 대변하는 것은 아니다. 인터넷에 돌아다는 자료를보면 전기차모터는 죄다 pmsm만을 사용한다는 말이 많다, 어느 정도는 맞는 말로 pmsm이 대세화 된 것은 사실이나 일반적으로 후륜에는 pmsm을 사용하고 전륜에는 IM을 사용하는 차량들이 가끔 보인다.   왜 고성능 전기차는 전륜과 후륜 모터의 세기가 다를까?본내용은 필자의 공부용으로 고찰을 적는 내용이지 정확한 내용이 아님을 먼저 강조한다. 현제 고성능 전기차라 불리우는 모델들 일반적인 PE모튤의 경우 전륜의 힘이 약하고 후륜의 힘이 강한beast1251.tistory.com  하지만 고성능 차량들을 확인해 보면 두 개나 3개의 모터를 PMSM으로 사용하지만, 앞과 뒤의 출력을 다르게 하여,  전륜의 세.. 2024. 7. 16.
전기차 모터 절연시스템의 구성요소[에나멜 필름,슬롯 절연지, 층간절연지, 상간절연지, 함침, 포팅] 기본적으로 ev모터 절연시스템의 구성요소는 코일에 코팅되는 에나멜필름, 슬롯절연지, 층간절연지, 상간절연지, 함침, 포팅 등이 있다. 내용이 꽤나 복잡하지만 사실 절연지와 코일코팅 그리고 에폭시로 감싼다 정도로 생각하면 되는데 이 이후 모터가 잘 만들어졌는지 테스트하기 위해  절연저항 테스트 ,서지테스트 내전압테스트(누설전류량 측정) 다음과 같은 테스트를 거친다. 오늘은 이에 대해 이야기해 보자 에나멜 필름 (Enamel Film)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터, 폴리이미드, 에폭시 등의 수지 기반 재료를 통해 코일의 개별 와이어 표면에 코팅한다. 전기적 절연을 제공하여 와이어가 서로 접촉하거나 다른 구성 요소와 접촉할 때 전기적 단락을 방지하는 역할로, 어렵게 생각할 거 없이 와이어끼리 전기가 흐르는 것을 .. 2024. 7. 15.
자동차의 구동방식[FF, FR, MR, RR, AWD] 자동차의 구동방식은 엔진의 위치와 구동 바퀴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주요 구동방식은 FF, FR, MR, RR, AWD로 나누며 구동방식에 따라 장단점이 명백하다. 물론 오늘은 특징을 설명하기 위해 그냥 아이오닉 5N으로 설명서를 만들었지만 전기차의 경우 AWD나 후륜구동을 많이 채택함을 알아두자 그럼 시작해 보자FF (Front-engine, Front-wheel drive)엔진 위치: 자동차의 앞쪽구동 바퀴: 앞바퀴특징:엔진과 구동 시스템이 모두 앞쪽에 있어 차체 구조가 단순하고 무게 배분이 앞쪽에 집중됨제조 비용이 낮고 공간 활용이 좋음조향 성능이 뛰어나고 안정적고출력 차량에서는 접지력이 떨어질 수 있음예: 현대 엘란트라, 혼다 시빅, 아반떼 소나타, 그렌져FR (Front.. 2024. 7. 15.
반응형